제 2차 세계대전 직후, 보다 정교하고 수학적인 모델에 기초를 둔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조직 내 작업의 문제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영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을 관리과학적 경영학이라고 한다. 관리과학적 경영학의 등장 배경은 제 2차 세계대전 중 군대에서 행해졌단 중요한 프로젝트 연구자들이 군사전략이나 군수물자의 수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량적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사람이 전시 중에 새롭게 개발된 방법들이 산업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시작했고, 먼저 생산관리 분야에 신속히 적용되었다. 이후 운영관리를 거쳐 현재는 경영계획모형, 모의 의사결정 활동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리과학적 경영학은 계량경영학, 또는 경영과학이라는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적절한 관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포맷의 제시, 수학적 모형의 제시, 컴퓨터 적용 등의 특성이 있다. 1950년대부터 기업경영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경영자들은 기업조직을 환경과 부단히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로 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전적 경영학, 행동 과학적 경영학, 관리과학적 경영학 등이 제시한 경영기법이나 처방이 일관성 있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각각의 접근방법들이 각기 다른 환경 하래서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적 경영학은 세 가지 접근법을 상황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절충하고 있다. 시스템이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면서도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부분들의 집합으로서 하나의 실체이다. 시스템은 조직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시스템과 폐쇄시스템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특별히 급하지 않으면 오늘날 개방시스템을 의미한다. 모든 시스템은 임의로 통제할 수 없는 외부적 환경 아래서 활동을 전개한다. 모든 시스템은 구성요소 혹은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모든 시스템의 하위시스템은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하위시스템 간의 상호 관련성은 나머지 하위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어느 한 하위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시스템적 접근법의 주요한 특성을 이룬다. 마지막으로 모든 시스템은 구심점 혹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조직의 노력과 하위시스템의 노력의 대상이면서 평가 또는 통제 시 표준이나 기준으로 작용한다. 기업조직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게 되면 조직 내의 많은 부분과 부서, 하위시스템들이 상호 관련되어 있고 그 같은 상호 관련된 부분들 모두 조직목표달성에 공헌해야 한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가 있다. 현대적 경영학의 상황적합이론은 시스템개념을 기초로 하여 발전된 것이다. 이는 수많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최선인 방법이 존재한다는 보편주의 입장을 부정하면서 앞서 살펴보았던 전통적 경영이론들의 한계점인 특수상황 아래서의 문제 해결의 부적격성을 극복하고 있다, 즉, 상황적합이론에 따르면, 모든 조직들은 서로 다르고 같은 조직이라고 하더라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새로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기법도 각 상황에 가장 적합한 관리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상황적합이론의 주된 결정요인은 기업조직 내외의 환경이다. 따라서 기업조직의 내외부 환경요인에 적합한 경영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보다 정교하고 수학적인 모델에 기초를 둔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조직 내의 작업의 문제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영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을 관리과학적 경영학이라고 한다, 하지만, 관리과학적 경영학은 경영기술 측면에서 인간 관계적 기술, 관리기능 측면에서 조직화와 지휘기능, 경영자의 역할 측면에서 인간 관계적 역할이나 정보관리 역할 등을 소홀히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학적 모형으로 가변성이 많은 현실과의 괴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1950년대 이후 기업경영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경영자들은 기업조직을 환경과 부단히 상호작용하는 개방체계로 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적 경영학은 세 가지 접근법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절충하고 있다.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자의 사회적 책임 (0) | 2024.05.01 |
---|---|
경영자의 역할 (0) | 2024.05.01 |
행동과학적 경영학 (0) | 2024.05.01 |
경영학의 발달 (0) | 2024.05.01 |
경영통제의 의의 및 유형 (0) | 2024.04.13 |